-
[2024년 최저시급]2023년~2024년 최저임금(최저시급) 비교표, 최저임금제도, 최저임금 결정기관(최저임금위원회)궁금한 이야기 2023. 12. 11. 17:53
2023년~2024년 최저임금(최저시급) 비교표 연도 최저시급 최저월급(주40시간 근무, 주휴수당 8시간 포함하여 계산) 2023년 9,620원 2,010,580원 2024년 9,860원 2,060,740원
매년 연말이 되면, 다음 해에 최저임금이 얼마나 올랐는지 관심이 많으실 텐데요, 2024년 최저임금, 2024년 최저시급은 위 표와 같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2023년도 대비 2.5% 인상되었다고 합니다.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주휴수당 8시간 포함하여 계산한 최저시급(9,860원)을 적용한 최저 월급은 2,060,740원입니다.
최저임금 제도 - 국가가 노·사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 ※「헌법」 제32조 제1항에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고 규정(’ 87. 10월)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 결정기관 (최저임금위원회) 매년마다 바뀌는 최저임금은 과연 어떻게 결정될까요? '최저임금위원회'라는 국가기관에서 매년 최저임금을 결정하여 고시합니다. 과거부터 최저임금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한눈에 확인하시려면, '최저임금위원회' 사이트(www.minimumwage.g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4 최저시급, 2024년 최저시급 월급을 알아봤는데요, 경기가 더 좋아져서 우리의 임금도 많이 올랐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서 포스팅해봤습니다.
'궁금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1.1.시행](학교,유치원,어린이집)방과후 강사 산재보험 적용 (1) 2023.12.17 [복강경 수술후 염증] 염증부위 치료 후기, 상처부위 일주일 변화 (1) 2023.12.15 [경계선 지능장애] 경계성 지능장애, 경계선 지능 뜻, 진단, 원인, 특징, 학교생활 및 진로, 외국의 장애진단기준, 병역판정검사, 문제점 (0) 2023.12.06 [가족관계증명서 온라인 발급]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접속, 발급순서, 발급시 유의할 점 (0) 2023.12.03 [주민등록등본 인터넷 발급] 정부24 접속, 주민등록 등본 발급 순서, 열람 또는 출력하기 (0) 2023.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