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연말정산] 2023년 연말정산 달라진점궁금한 이야기 2023. 12. 27. 15:12
해마다 13월의 월급을 위해서 연말정산 준비하시는 분들 많으실 텐데, 오늘은 저도 월급쟁이라 연말정산 준비하면서 달라진 점을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 자녀세액공제 적용 대상 자녀 연령
개정전 개정후 만7세이상 만8세이상 - 자녀세액공제 금액
자녀수 세액공제금액 1명 연15만원 2명 연 30만원 3명이상 연 30만원 + 2명 초과하는 1명당 연 30만원
(ex:3명은 60만원, 4명은 90만원, 5명 120만원)
2. 교육비 세액공제대상확대
공제율은 본인 또는 부양가족 교육비 지출액의 15%이며, 공제대상은 본인, 취학 전 아동, 초중고대학생이며, 공제항목은 본인 대학(원) 학기, 직업능력개발훈련비 등과 취학 전 아동의 유치원, 어린이집 수업료, 학원비, 초중고대학생의 수업료, 교재비, 입학금 등이며, 여기에 대학입학전형료, 수능응시료가 추가된다. 공제한도는 본인, 장애인 특수교육비는 전액공제 가능하고, 취학 전아동, 초중고등학생은 1명당 연 300만 원, 대학생은 1명당 연 900만 원에 대하여 공제대상이 된다. 대학원생에 대하여는 본인 외에는 공제 대상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3. 기부금 세액공제율 조정
기부금 활성화 지원을 위해 2021년~2022년 2년 동안 일시적으로 상향됐던 기부금 세액공제율이 원상 복구되었다. 따라서, 2023년 귀속분 연말정산 시에는 2021년 이전 공제율을 적용해 기부금 세액공제 금액을 계산해야 한다.1천만원 이하 15% 1천만원 초과분 30% ※ 2021년, 2022년에 한해 기부금 세액공제율 5% 상향
4.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제출범위 확대
홈택스를 통해 제공되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제출자료 범위가 확대됩니다.제출기관 소득,세액공제 관련 증명서류를 발급하는자 제출항목 연금계좌 납입액,보험료,의료비,교육비 등 추가 고용보험법에 따라 근로자가 부담하는 보험료
5. 식대 비과세 한도 확대
종전에 월 10만 원 이하이던 식대 비과세 항목의 월 20만 원 이하로 한도가 조정되었습니다. 다만, 비과세 식사대의 경우 종전에는 지급명세서 제출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2023년 2월 28일이 속하는 과세기간분에 대한 지급명세서 제출분부터는 제출대상에 포함됩니다.
6.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확대
대중교통비 등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공제율이 상향됩니다.소득공제율 개정전 개정후 도서,공연,미술관,박물관,영화관람료 30% 40%(2023.4.1.~) 전통시장사용금액 40% 50%(2023.4.1.~) 대중교통비 40% 80%(2023.1.1.~)
▶공제한도총급여구간 기본공제 추가공제 7000만원 이하 300만원 300만원 7000만원초과 250만원 200만원
7.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조정
과세표준 하위 3구간이 조정되었습니다.개정전 세율 개정후 1200만원이하 6% 1400만원이하 1200만원초과~4600만원 이하 15% 1400만원초과~5000만원 이하 4600만원초과~8800만원 이하 24% 5000만원초과~8800만원이하 8800만원초과~1억5천만원이하 35% 개정전과동일 1억5천만원초과~3억이하 38% 3억초과~5억이하 40% 5억초과~10억이하 42% 10억초과 45%
8. 근로소득세액공제 한도 축소
총 급여 1.2억 원 초과자의 공제한도가 신설되어 고소득근로자에 대한 근로소득세액공제 한도가 축소됩니다.
공제율은 산출세액 130만 원 이하 : 55%, 산출세액 130만 원 초과:30%이며, 공제한도는 총 급여 3300만 원 이하는 74만 원, 3300만 원~7000만 원 이하는 74만 원~66만 원이다.개정전 개정후 총급여 7000만원 초과 총급여7000만원~1.2억원 이하 66~50만원 (신설) 총급여 1.2억원 초과 50~20만원
9. 연금계좌 세제혜택 확대
개인연금 및 퇴직연금의 노후소득 보장 강화를 위해 연금 계좌 세제혜택이 확대됩니다. 세액공제 기준금액을 총 급여액 5500만 원, 종합소득금액 4500만 원으로 통일하고, 세액공제대상 납입한도는 연금저축 600만 원, 퇴직연금을 포함하면 900만 원 한도로 통일됩니다.개정후 총급여액(종합소득금액) 세액공제대상납입한도
(연금저축납입한도)세액공제율 5500만원이하 (4500만원) 900만원(600만원) 15% 5500만원초과(4500만원) 12% 또한, 연금계좌 추가납입항목을 신설하여 연금저축+퇴직연금의 연간 납입한도는 1800만 원이며, 추가납입 가능항목은 ISA계좌 만기 시 전환금액이며, 1 주택 고령가구(부부 중 1인 60세 이상)가 가격이 더 낮은 주택으로 이사한 경우 그 차액(1억 원 한도)에 대하여도 추가납입가능항목으로 신설되었습니다.
2023년 귀속분 연말정산을 준비하며 달라진 점을 국세청 안내자료를 보고 정리해 드렸습니다. 알뜰히 세테크 하여 13월의 월급을 잘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궁금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적출술후 1년이 지났습니다]자궁근종수술후 경과 (1) 2024.02.29 [경기도청소년교통비 지원 신청]지원대상,지원금액, 신청기간,지원방법,신청자격, 지원범위 (1) 2024.01.06 [2024.1.1.시행](학교,유치원,어린이집)방과후 강사 산재보험 적용 (1) 2023.12.17 [복강경 수술후 염증] 염증부위 치료 후기, 상처부위 일주일 변화 (1) 2023.12.15 [2024년 최저시급]2023년~2024년 최저임금(최저시급) 비교표, 최저임금제도, 최저임금 결정기관(최저임금위원회) (0) 2023.12.11